로마 군단의 행군일지, 하루에 40km를 걷다

고대 로마 제국의 군사적 성공은 단순히 전투에서의 승리로만 설명되지 않는다. 그들의 군단은 놀라운 기동력과 규율, 그리고 체력으로 무장한 집단이었다. 특히 하루 40km를 걷는 행군 능력은 로마 군단의 상징이자 전 세계를 제패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


TV가 필요할때 국민 TV

국민TV 티비아울렛 바로가기

1. 군단의 규율과 훈련

로마 군단병들은 입대와 동시에 혹독한 행군 훈련을 받았다. 신병들은 20kg 이상의 무장을 메고 하루 30km 이상의 거리를 걸어야 했고, 대열을 유지하며 걷는 훈련도 병행했다. 단순한 체력 소모가 아니라, 군단 전체가 하나의 기계처럼 움직이도록 훈련된 것이다.

훈련의 목표는 규율, 속도, 인내심 세 가지였다.

  • 규율: 대열을 무너뜨리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
  • 속도: 상황에 따라 정규 행군과 강행군을 구분
  • 인내심: 고된 무장에도 불평하지 않고 완주

2. 행군 방식과 거리

로마 군단은 정규 행군강행군 두 가지 방식으로 이동했다. 아래 표는 두 행군 방식의 차이를 보여준다.

행군 방식하루 이동 거리속도특징
정규 행군 (Marcha ordinaria)약 20~25km시속 4~5km보급과 진지 구축 병행
강행군 (Marcha extraordinaria)최대 35~40km시속 6km 이상긴급 출동, 전투 직전 상황에서 사용

강행군은 병사들에게 엄청난 체력 소모를 안겨주었으나, 로마 군단은 이를 조직적 휴식, 분대 단위 지원 체계를 통해 극복했다.


3. 군단병의 장비 무게

군단병들은 단순히 걷기만 한 것이 아니라, 20~30kg 이상의 장비를 짊어지고 이동했다. 당시 병사들의 필수 장비는 다음과 같았다.

장비명설명무게(추정)
Scutum (대형 방패)몸 전체를 가리는 곡면 방패10kg
Lorica Segmentata (갑옷)금속 판갑8kg
Gladius (검)근접 전투용 짧은 검1kg
Pilum (투창)적 방패를 꿰뚫는 무거운 창2kg
개인 식량 및 수통3일치 곡물, 물7kg
공구 및 기타 장비삽, 말뚝, 천막 재료5kg 이상
총합30kg 내외

이처럼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도 하루 40km를 걸었기 때문에, 군단병들은 **‘마리우스의 노새(Muli Mariani)’**라는 별명을 얻었다.


로마 군단의 행군일지, 하루에 40km를 걷다 2

4. 하루 행군의 과정

로마 군단의 하루 일정은 매우 체계적이었다. 행군은 단순한 이동이 아니라 전투 준비와 요새 건설을 포함한 전술적 활동이었다.

  1. 새벽 기상 – 병사들은 해가 뜨기 전 기상하여 식사와 장비 점검을 했다.
  2. 대열 정비 – 6명 단위의 ‘contubernium(텐트 소대)’를 기본으로 행군.
  3. 행군 개시 – 일정한 보폭과 속도로 걷기 시작, 2시간마다 휴식.
  4. 점심 및 보급 – 야전에서 간단한 곡물식으로 끼니 해결.
  5. 도착 후 요새 건설 – 임시 주둔지(castra)를 만들고 해자와 성벽을 쌓음.
  6. 야간 경계 – 교대로 경계를 서며 적의 기습에 대비.

5. 행군의 전략적 가치

로마 군단의 기동력은 단순한 체력 과시가 아니라 전략적 무기였다.

  • 속도: 적보다 빠르게 이동해 전투 주도권을 잡음
  • 심리적 압박: 수천 명의 군단이 규칙적으로 걷는 모습은 적에게 두려움을 줌
  • 방어와 공격 병행: 어디서든 요새를 짓고 방어 태세 전환 가능

이 덕분에 로마 제국은 방대한 영토를 효율적으로 지배할 수 있었다.


6. 현대 군대와의 비교

오늘날 현대 군대도 장거리 행군을 실시한다. 한국 군대의 경우 완전군장 상태로 20~30km 행군을 훈련하지만, 이는 로마 군단의 강행군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현대 군인들은 경량화된 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부담은 상대적으로 덜하다. 오히려 로마 군단병들의 인내심과 체력이 더 놀라운 기록으로 평가된다.


결론

로마 군단의 하루 40km 행군은 단순한 체력 시험이 아니라, 로마 제국의 힘을 보여주는 군사적 문화였다. 철저한 훈련, 규율, 장비 운반 능력, 그리고 어디서든 요새를 구축하는 전술 덕분에 로마는 “걸어서 세계를 정복한 제국”이 될 수 있었다.

오늘날에도 로마 군단의 행군은 군사학 교재에 등장하며, 규율과 체력, 기동력의 상징으로 평가된다.

You cannot copy content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