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문 여는 병원·약국 찾는 법 총정리 2025년|응급의료포털·응급똑똑 앱 활용법

TV가 필요할때 국민 TV

국민TV 티비아울렛 바로가기

머리말

추석 연휴가 다가오면 마음은 풍성하지만, 갑작스러운 건강 문제로 병원을 찾아야 할 때는 난감해집니다. 특히 연휴 기간에는 대부분의 병·의원과 약국이 문을 닫기 때문에, 어디로 가야 할지, 무엇을 먼저 해야 할지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 추석 연휴(10월 3일~10월 9일)를 맞아 국민들이 의료기관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과 응급똑똑 앱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휴 중 병원과 약국을 이용하는 방법, 응급 상황 대처법,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앱과 콜센터 정보를 정리했습니다추석 연휴, 병‧의원 이렇게 이용하세요.


1. 추석 연휴 병·의원 이용 기본 원칙

추석 연휴 문 여는 병원·약국 찾는 법 총정리 2025년|응급의료포털·응급똑똑 앱 활용법 1

1-1. 먼저 동네 병·의원을 확인

몸이 불편할 때는 먼저 문을 여는 동네 병·의원이나 작은 응급실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증 환자의 경우 가까운 병·의원에서 진료가 가능하고, 필요한 경우 큰 병원으로 이송도 연결됩니다.

1-2. 중증 증상은 즉시 119

호흡곤란, 팔다리 저림, 언어장애 같은 중증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하지 말고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구급대의 중증도 판단을 거쳐 적절한 병원으로 바로 이송됩니다.

1-3. 판단이 어려울 땐 상담 활용

혼자서 증상 정도를 판단하기 어렵다면 119 상담을 통해 의학적인 조언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응급똑똑 앱 활용하기

2-1. 증상 입력 기반 맞춤 안내

‘응급똑똑’ 앱은 사용자가 직접 증상을 입력하면, 경증은 동네 병·의원 방문을, 중증은 응급실 방문을 안내합니다.

2-2. 위치 기반 병원·약국 검색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문 여는 병·의원, 달빛어린이병원, 응급실, 약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3. 설치 방법

  •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응급똑똑” 검색 후 설치
  • 연휴 전 미리 설치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3. 소아환자를 위한 아이안심톡

3-1. 소아 전문 상담

12세 이하 아동의 갑작스러운 증상은 **아이안심톡(http://icaretok.nemc.or.kr)**에서 24시간 전문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3-2. 상담 절차

  1. 응급똑똑 앱에서 증상 분류
  2. 진료가 필요하면 병원 안내, 상담으로 가능하면 1:1 게시판에 문의
  3. 의료진이 가정 응급처치, 상비약 활용법, 추가 조치 사항 안내

3-3. 보호자 편의

답변이 등록되면 문자 등으로 바로 알림이 와서 실시간 대응이 가능합니다.


4. 추석 연휴 진료 병원 및 약국 현황

구분일평균 운영 개소
병·의원약 8,800개소
응급의료기관권역센터 44, 지역센터 137, 지역기관 232, 응급의료시설 113
공공보건기관약 180개소
약국약 7,000개소

※ 실제 운영 여부는 의료기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방문 전 전화 확인 필요추석 연휴, 병‧의원 이렇게 이용하세요


5. 꼭 알아야 할 연락처 & 사이트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119 구급상황관리센터 ☎119
  • 시·도 콜센터 ☎120
  • 응급의료포털 www.e-gen.or.kr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www.mohw.go.kr
  • 응급똑똑 앱 / e-gen 앱

요약 정리

  • 경증 증상은 동네 병·의원이나 작은 응급실 이용
  • 중증 증상은 지체하지 말고 119 신고
  • 문 여는 병·의원·약국은 응급의료포털·응급똑똑 앱에서 확인
  • 소아 응급은 ‘아이안심톡’에서 전문의 상담 가능
  • 연휴 전 미리 앱 설치 및 가까운 병·의원 전화 확인 필수

FAQ

Q1. 추석 연휴에 동네 병·의원은 몇 군데 문을 여나요?
→ 전국적으로 일평균 약 8,800개 병·의원이 운영됩니다.

Q2. 약국도 운영하나요?
→ 네, 일평균 약 7,000개 약국이 문을 열며, 응급똑똑 앱과 응급의료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3. 소아환자가 갑자기 아프면 어떻게 하나요?
→ 아이안심톡을 통해 24시간 전문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Q4. 증상이 경미한데 대형병원 응급실로 가도 되나요?
→ 경증은 작은 병원에서 진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대형병원 응급실은 중증환자 우선입니다.

Q5. 방문 전 확인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 실제 운영 여부가 변동될 수 있으니, 반드시 병·의원·약국에 전화해 확인한 후 방문하세요.

추석 연휴 문 여는 병원·약국 찾는 법 총정리 2025년|응급의료포털·응급똑똑 앱 활용법 2

You cannot copy content of this page